CTS뉴스 김인애 기자

성경은 하나님을 대신하는 형상이나 다른 신에게 예배하는 것을 우상숭배라고 분명하게 못 박고 있다. 기독교 전문가들은 제사 속에 조상을 잘 섬겨야 복을 받는다는 기복사상과 죽은 자에 대한 공포를 떨쳐내려는 망자공포 사상이 포함돼 있다고 지적한다. 또, “제사는 전통문화가 아닌 조상신을 부르는 종교적 행위”이라며 절은 인격체를 대상으로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격체가 아닌 죽은 자에게 절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기독교인들은 제사문제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우선 절은 꼭 하지 않더라도 절하는 것만큼 살아있을 때 부모에게 더 많이 효도하고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가족의 화목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믿지 않는 가족들에게 섣불리 전도를 하거나 신앙을 강요할 경우 불필요한 언쟁을 불러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독교인들이 먼저 모범적인 삶을 보여주면서 신뢰를 얻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INT 최성규 총장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성경에 어긋나지 않는 추모예식서를 활용해 추도예배를 시도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때 전통적인 조상 추모의 정신은 최대한 존중하면서, 그 초점을 살아있는 가족과 하나님께로 자연스럽게 옮기는 지혜가 필요한다.

INT 박삼열 목사 / 송월교회

전통적 효 문화와 우상숭배를 두고 명절마다 갈등의 원인이 돼 온 제사. 기독교인들의 지혜로운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