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S뉴스 박세현 기자

입양 후 계속되는 양부모의 학대로 16개월만에 사망한 정인이. 검찰이 양부모 장 씨에게 살인혐의를 적용한 가운데 재발 방지를 위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입양가족들은 정인이 사건으로 인해 자신들을 바라보는 이웃의 시선이 차가워졌다고 증언한다.

입양가족 가장 A

정인이 사건으로 인해서 이웃들에게 요즘에 뭐랄까 보험이라든가 아파트 청약이라든가 여기에 다자녀 혜택들이 있어서 거기에 입양이 꽤 의심의 눈초리로 치부되고 있는 상황인 거죠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기자회견에서 입양 시스템을 더 철저하게 할 것. 아동학대 위기징후를 빠르게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 확충 등에 대한 대책을 언급하고 나선 상황.

하지만 입양가족들은 정부의 대책마련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먼저는 입양의 위축에 대한 염려이다. 2012년 입양특례법이 제정되며 입양이 어려워진 상황 가운데 제도적 규제는 입양 위축을 가속화 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입양 단체들은 이번 사건의 본질이 입양이 아닌 아동학대임을 잊지 말자고 호소한다. 정인이 또한 입양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학대로 인한 피해자임을 기억하고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오창화 대표 / 전국입양가족연대

어떤 시스템도 사람을 다 필터링할 수 없어요 만약에 그렇다면 대통령이 그렇다고 말씀하신다면 262명의 일반가정에서 아동학대로 죽은 아이들한테는 왜 그렇게 안 하냐는 거죠

입양가족 모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사고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제안도 이어진다. 교회를 중심으로 모임을 이어 온 입양가족들이 꾸준한 소통을 통해 사고를 예방해 왔다는 것.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입양가족 모임이 체계화된다면 건강한 입양가족들도 많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오창화 대표 / 전국입양가족연대

많은 입양가족들은 아이한테 네가 입양아라고 이야기하는 순간을 굉장히 두려워하시거든요 그런데 어릴 때부터 자조모임(입양가족모임)에 나오면 자연스럽게 입양된 걸 알게 돼요 엄마들도 다른 엄마들 만나서 이야기 하면서 푸는 경우도 있고 다른 엄마들이 자기 자녀를 바라보잖아요 그러다 보니 어느 선을 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요

모두를 충격에 빠뜨린 정인이 사건. 현장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실제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