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사랑, 나라 사랑 실천
전도사로 국민계몽운동, 문맹퇴치운동 등 펼쳐
6.25전쟁 당시 손양원 목사와 함께 순교

열사 윤형숙 전도사
열사 윤형숙 전도사
윤형숙 전도사의 묘지. 윤형숙 전도사가 태어난 전남 여수시 화양면 창무리 입구에 있다.
윤형숙 전도사의 묘지. 윤형숙 전도사가 태어난 전남 여수시 화양면 창무리 입구에 있다.

전남 여수시 화양면. 이곳엔 2004년 건국포장에 추서된 순국열사 윤형숙 전도사의 묘가 있다.
1900년 9월 13일 여수시 화양면 창무리에서 윤치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난 윤형숙은 7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친척 윤성만 전도사에 의해 미국 남장로교 변요한(John Fairman Preston) 선교사의 도움으로 순천 매산 성서학원을 수료했다. 이후, 1918년 광주 수피아여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여수와 순천, 광양지역에선 독립선언서를 인쇄하던 중 발각돼 만세운동이 일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대한독립 염원의 뜻이 있었던 시민들은 광주로 모여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평소 학교에서 선교사들에게 ‘하나님 사랑, 민족사랑’을 배웠던 윤형숙은 1919년 3월 6일 수피아여학교 교사 박애순 등과 협의해 3월 10일 광주 장날을 이용해 만세운동을 결행하기로 계획하고 독립선서를 인쇄하는 등 사전준비를 했다.
1919년 3월 10일 오후 3시. 양림리와 북문, 지산면 세 갈래 방향에서 광주교 밑 작은 장터에 모인 1,000여 명은 미리 준비해 온 태극기를 꺼내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태극기를 준비하지 못한 이들은 모자나 두 손을 높이 들어 만세를 불렀다. 쌀 장수는 쌀되를, 그릇 장수를 그릇을 두드리며 행렬에 합세했다. 학생, 농민, 기독교인 등 각계각층이 동참한 이 만세운동이 3시간 가까이 이어지자 일제는 해산 명령에 불응하는 군중에게 공포탄을 쏘며 강제진압에 나섰다. 군중의 맨 앞에 서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던 윤형숙은 일본 헌병이 휘두른 군도에 왼팔이 절단됐다. 그래도 굴하지 않고 오른손으로 떨어진 태극기를 주워들고 일어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다 체포됐다. 왼팔이 잘리고 오른쪽 눈을 크게 다친 윤형숙은 광주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4개월을 선고받고, 수년간 일본 군영으로 추정되는 곳에 유폐됐다.

전남 여수시 웅천동에 위치한 여수항일독립운동기념탑 부조에 윤형숙 열사의 만세운동을 재연한 조각이 있다.
전남 여수시 웅천동에 위치한 여수항일독립운동기념탑 부조에 윤형숙 열사의 만세운동을 재연한 조각이 있다.


석방 후, 원산 마루다신학교에서 수학하고 장애의 몸으로 고향으로 돌아온 윤형숙 전도사는 여수제일교회에서 사역하며 국민계몽운동, 문맹퇴치운동, 남북통일과 공산당의 잔학상을 전하는 등 개인의 이익보다 민족과 이웃을 먼저 사랑했다. 또한, 여수지역에서 야학을 진행했는데 이것은 새로운 교회가 세워지는 계기가 됐다.
이렇게 지역에서도 끊임없이 하나님 사랑과 민족사랑을 실천하던 윤형숙 전도사는 1950년 6.25전쟁 당시, 인민군에 ‘반동분자’라 낙인찍히게 됐고, 결국 손양원 목사를 비롯한 약 200명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

6.25전쟁 당시 인민군은 퇴각하면서 여수지역 약 200명을 과수원에서 죽였다. 과수원이었던 그곳은 6.25전쟁 당시 순교한 순교자들을 기리는 곳이 되었다.(장소 : 전남 여수시 둔덕동)
6.25전쟁 당시 인민군은 퇴각하면서 여수지역 약 200명을 과수원에서 죽였다. 과수원이었던 그곳은 6.25전쟁 당시 순교한 순교자들을 기리는 곳이 되었다.(장소 : 전남 여수시 둔덕동)


이러한 열사 윤형숙 전도사의 업적을 기리며 2004년 건국포장에 추서됐다.
3.1 만세운동과 6.25전쟁을 거치며 누구보다 격정적인 삶을 살아온 윤형숙 전도사.
그녀의 삶은 하나님 사랑, 그리고 나라와 민족 사랑이 먼저였다.

"왜적에게 빼앗긴 나라 되찾기 위하여 왼팔과 오른쪽 눈도 잃었노라.
일본은 망하고 해방되었으나 남북, 좌우익으로 갈려 인민군의 총에 간다마는
나의 조국 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
- 윤형숙의 전도사의 묘비석 중에서 -

저작권자 © 투데이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