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S뉴스 김인애 기자
CTS다음세대운동본부가 ‘대한민국 다음세대 희망 프로젝트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대한민국의 미래인 다음세대가 행복한 아동 돌봄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감경철 회장 / CTS기독교TV
희망이 없기에 행복하지 않고 행복하지 않기에 아이를 낳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CTS다음세대운동본부는 이런 악순환을 끊고 우리 사회의 희망과 행복을 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정익중 교수는 “맞벌이 가구의 증가, 가족 규모 축소, 코로나19 등으로 아동 돌봄이 위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존 돌봄서비스 한계로 “공급자 중심과 연령대별 수요대비 불균형한 서비스 공급, 비효율적 서비스 전달체계, 돌봄 노동의 낮은 사회적 가치 인정”을 꼽았다.
정 교수는 “아동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 돌봄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공공성 차원의 접근성이 높은 종교시설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익중 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아동 최상위 이익 공급자 중심이 아니라 이제는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들이 필요하고요 공공성 같은 경우에는 공공이 모든 역할을 다 하라는 게 아니라 민간이 역할을 하더라도 민간이 공공처럼 이제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국가의 지원들이 필요하다라는 얘기를 하고 있고요
이어진 토론에서는 아동 돌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됐다.
신한대 임원선 교수는 임산부 무료 정기검진, 출산과 산후조리 비용 국가지원, 영유아‧초등 돌봄서비스와 인프라 확충 등을 제시했고, 서울여대 김아래미 교수는 이주 배경 아동, 장애 아동 등 다양한 아동들이 돌봄에서 배제되지 않는 세심한 정책을 강조했다.
임원선 교수 /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령기 아동들을 위해서 인프라를 지금 지역아동센터도 있고 다함께돌봄센터도 있고 여러 부처가 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재편성해서 각 지역에 있는 부모님들이 또 아동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현장에서는 “교회가 이 시대 아동 돌봄과 보육의 대안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교회 시설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 지자체가 교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교회들은 효율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아동 돌봄 기관의 일원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주희 목사 / 성암교회
기관들이 너무 많아서 누구하고 어떻게 파트너십을 가져야 하는지에 관해서 지금 한국교회가 굉장히 어려워하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교회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떻게 파트너십을 가질 것인가에 관해서는 사회적으로 정리가 되면 교회가 더 효율적으로 나설 수 있고 또 열심히 헌신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CTS다음세대운동본부는 이번 심포지엄의 결과를 정리한 정책제안서를 주요 정당 대선캠프와 국회에 전달할 예정이다.